1. 글꼴 관련
1) 글꼴
font-family:<글꼴이름> | [<글꼴이름>,<글꼴이름> ]
(속성값 나열 할 때 값이 아니라 유형이라면 <>로 묶음)
@font-face (눈누 / 구글 폰트 사이트 사용)
2) 글자 크기
font-size:<절대크기>|<상대크기>|<크기>|<백분율>
절대크기: 브라우저에서 지정한 글자 크기
상대크기 : 부모 요소의 글자 크기 기준
크기 :브라우저와 상관없이 글자 크기 직접 지정
백분율 : 부모요소의 글자 크기를 기준으로 백분율
3) 단위들
Em : 부모 요소에서 지정한 글꼴의 대문자M기준이 1em 한 후 비율 값 지정
Rem : 문서 시작 부분에서 지정한 크기가 1em 한 후 비율 값 지정(최상위 문서 시작 글 크기가 기준이 되는 거임)
- nRem = n
ex ) 문서의 html 에서 20px했으면 다른 파일에서 1rem = 20px가 됨
Ex : 해당 글꼴의 소문자 x 높이 기준 비율
Px : 모니터의 1 픽셀 기준 비율
Pt : 포인트, 일반 문서와 똑같
vw : viewport 너비의 1% - 높이는 그대로 (viewport(요소의크기?)에 대한 비율에 따라 너비가 움직임)
ex) 20 vw : viewport의 20v퍼센트
vh : viewport 높이의 1%
4) font style
font-style: normal | itlaic| oblique
Itlaic : 처음부터 기울어지게 디자인 됨
Oblique : 원래 글꼴을 기울어지게
5) font-weight
Font-weight : normal| bold| bolder | lighter | 숫자(백단위)100-900
2. 텍스트 관련 스타일
1) color : <색상>
{Color : rgb(0,0,0,0);}
마지막은 불투명도 : 1은 완전 불투명 ,0은 투명
16진수 표기법 : #0000
2) text-align (텍스트 정렬)
Text-align: start | end | left | right | center | justify | match-parent
Start : 현재 텍스트 줄의 시작 위치에 맞추어 문단 정렬
End : 현재 텍스트 " 끝
Left : 왼쪽 맞추어 문단 정렬
Right : 오른쪽 맞추어 문단 정렬
Center : 가운데 맞추어 정렬
Justify : 양쪽에 맞추어 문단 정렬 - 왼쪽 정렬은 오른쪽에 공간이 남지만 justify는 양쪽 공간 동일
Match-parent : 부모 요소에 따라 문단 정렬
3) line-height
ex)
Font-size : 12px ;
Line-height:24px;
Line-height:2.0;
Line-height:200%;
- -> 다 똑같은 24px
- ( 아래로 간격인거)
4) text-decoration
style = "text-decoration:none" //텍스트에 아무것도 안함
Style = "text-decoration:underline" //텍스트 밑줄
Style = "text-decoration:overline //윗줄 표시
Style = "text-decoration:line-through" //글자 통과 줄
5) text-shadow
Text-shadow : none | <가로거리><세로 거리> <번짐 정도><색상>
가로거리 : 양수 : 오른쪽, 음수 : 왼쪽 (필수)
세로거리 : 양수 : 아래 , 음수 : 위쪽 (필수)
번짐정도 : 그림자가 번지는 정도 , 양수 : 모든 방향 퍼져나감, 음수 ; 모든 방향 축소
6) text-transform
: 영문 사용시 텍스트이 대소 문자 변형
Text-transform : capitalize; //첫번째 글자를 대문자로
Text-transform : uppercase ; // 모든 글자를 대문자로
Text - transform : lowercase; //모든 글자를 소문자로
Text-transform : full - width; 가능한 모든 문자를 전각(가로 세로 비율이 같은 글자)
7 ) letter-spacing , word-spacing
Letter-spacing : 글자와 글자 사이 간격 조절
Word-spacing : 단어와 단어 사이 조정
3. 목록 스타일
1) list-style-type
- Disc : 채운 원 모양
- Circle : 빈 원 모양
- Square : 채운 사각형
- Decimal : 1부터 시작하는 10진수
- Deciaml-leading-zero : 앞에 0이 붙는 10진수
- Lower - roman ; 로마 숫자 소문자
- Upper-roman : 로마 숫자 대문자
- Lower-alpha ,lower-latin : 알파벳 소문자
- Upper "
- None : 불릿이나 숫자 없앰
2) list-style-image
: 불릿 대신 이미지 사용
기본형 : list-style-image : <url (이미지 파일 경로)> | none(list-style-type에서 지정한 형태로 표시됨)
3) list-style-position
: 목록을 들여 씀
기본형 : list-style-position : inside | outside;
Inside : 불릿이나 번호가 실제 내용이 시작 되는 위치보다 좀더 안으로 들여씀
Outside : 기본값
4) list-style
ul {list-style : none;}
ol{ list-style : lower-alpha inside;}
// 원래는 list-style-type 해서 각 각 따로
nav{//메뉴(네비게이션)
width: 300px;
margin:50px 30px;
}
ul{
list-style:none;// 목록 나타내는 스타일 없애기
}
li{
border: 1px soid #222;
padding :20px 40px; //글자와 불록 사이의 공간
margni5px;
}
4. 표 스타일
1) caption-side
: 표 제목의 위치 정해줌
caption-side :top | bottom
// 캡션 표 위에 | 표 아
2) border
: 표 테두리 생성
(바깥 , 셀 테두리)
사용법 : border : px(굵기) solid(선 형)
3) border-spacing
: 표와 셀에 따로 테두리 지정 → 여백 생김
이를 조정해주는 기능
border-spacing : 수평거리 수직거리
4) border-collapse
: <table> 태그에 적용 되는 스타일에만 지정하면 됨 ( 표와 셀테두리 합치기 / 표와 셀 테두리 따로 표시(기본값)
사용법 : border-collapse : collapse;
'웹 > 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배경 (0) | 2023.08.02 |
---|---|
박스모델/레이아웃 (0) | 2023.08.02 |
스타일 시트 종류/cascading (0) | 2023.08.02 |
기본선택자, 전체, 그룹 (0) | 2023.08.02 |
링크 (0) | 2023.08.02 |